9/1(화) 과제 1년차 과제계획을 위하여 자료를 받아 보고 과제 발표때 더욱 자세하게 듣는 것으로 진행 이를 위한 TAP 배지 제조 및 BG11배지 제조 TAP배지 - Tris base, TAP-salts, Phosphate solution, Trace elements solution, Acetic acid, DW 이를 합 1L로 만들어 Auto clave로 멸균 BG11배지 - 9개의 Stocks, (이중 2개의 Stocks은 멸균 후 추후에 염, 필요 영양소를 추가적으로 클린벤치에서 넣기로 함), DW 이들을 도합 2L로 맞춰 Auto clave로 멸균 JDN-2,5,8균주를 M-SFG배지에 colony 배양 클린벤치내에서 안전 준수를 따라 균주 배양 진행 9/2(수) BG11배지 제조 이어서 만듦 BG11: K2HPO4와 Ammonium ferric citrate green을 Clean bench 내에서 화염멸균을 모두 진행 한 후 1ml피펫으로 미리 멸균해둔 BG11배지에 2mL씩 분주를 한다. 이외에 Biomass를 보관해둔 냉장고를 정리하였다 9/3(목) 빛, 온도, 공기 조성에 따른 변화 실험 Chlamydomonas (UTEX 2714)균을 취하여 TAP배지가 담긴 배양플라스크에 풀어 희석을 한다. 멀티 피펫을 통해 96well plate에 200ul씩 담은 후 액이 새어나오지않게 공기 차단 패치를 붙인다. 이에 대한 현탁액을 측정하기 위하여 O.D값을 측정 한 후 PhotoBiobox에 빛,온도,공기조성을 설정하여 5일간 둔다. 단 1번씩 꺼내어 변화 관찰을 위하여 O.D값을 측정한다. 이 외에 폐기해야 할 Biomass를 모아 처리하였다. 9/4(금) 5일동안 포토비이오박스에 둔 플레이트 2~3시 사이에 OD값 찍기 엑셀키고 기기 호환 설정 후 추가설정에 들어가서 연결한다 측정값의 한계(loed paramater)를 설정하기 위해 680정도 설정 후 기기가 준비가 완료가 되면 측정(start parameter)하였다. 엑셀 시트명을 각각Air-1,2,3 CO2-1,2,3으로 하고 Chlamydomonas 파일에 200904 Day 1부터 저장하였다. 이 외에 배양배지 폐기처리 및 워싱을 하였다. |